본문으로 바로가기

보도자료

뉴스룸

한국토지주택공사(LH), 전국 42개 공공주택지구 송전철탑 이설·지중화 본격 추진
보도자료 배포2025. 11. 18.(화) / 즉시 보도 가능합니다.한국토지주택공사(LH), 전국 42개 공공주택지구 송전철탑 이설·지중화 본격 추진 - 전국 42개 사업지구 506기 철탑 이설 본격화.. 4조원 규모 사업 추진 - 임시·본 이설 병행 추진으로 송전선로 조기이설.. 하남교산 3천호 조기공급 -주민친화형 도시전력시설물 설계를 위해‘3D 경관시뮬레이션’신규 도입 □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차질없는 주택공급을 위해 전국 총 42개 지구 148.2km 구간, 506기의 송전철탑의 이설·지중화 사업을 추진 중이라고 18일 밝혔다. ㅇ LH는 3기 신도시를 비롯한 전국 42개 공공주택 지구를 대상으로 송전철탑의 이설·지중화 사업을 추진 중이다. 총 148.2km 구간, 이설대상 철탑은 506기로, 전체 사업비 규모는 약 4조 원대에 달한다. □ LH는 공기단축 및 주택공급 조기화를 위해 송전선로 이설 시 ‘임시이설’과 ‘본이설’을 병행 추진하는 ‘Two-Track 전략’을 도입한다. ㅇ 기존 송전선로 이설은 협의→설계→시공 등이 순차적으로 진행돼 평균 8년 이상이 소요됐다. ‘Two-Track 전략’을 도입해 임시이설을 병행할 경우 평균 2~3년의 공기단축이 가능해진다. ㅇ 현재 ‘용인반도체 국가산단’과 ‘하남교산 공공주택지구’에 우선 적용 중이며, 향후 전국 주요 사업지구로 확대 적용될 계획이다. 특히, 하남교산 지구의 경우 송전선로 지중화 전 임시 이설을 통해 토지사용시기는 최대 36개월 단축, 주택공급(3천호) 또한 ‘26년부터 조기 공급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아울러 LH는 ‘26년부터 도시 설계단계부터 주민 시야와 조망권을 고려한 전력 인프라 설계를 가능케 하는 ’전력시설 3D 경관시뮬레이션‘을 도입한다. 해당 시뮬레이션은 입주자가 창문 밖으로 보게 될 전력시설 위치를 입체적으로 구현해 내, 입주민을 고려한 최적의 송전설비 위치와 차폐 방안 등 분석이 가능하다. □ 박동선 LH 국토도시본부장은 “송전철탑 이설은 단순한 전력 사업이 아닌 국가 주거정책을 뒷받침하는 필수 인프라 사업으로, 국민 주거안정과 도시의 미래 경쟁력을 함께 높이는 일”이라며 “앞으로도 지자체, 한국전력 등과 긴밀히 협력하여 주택공급 조기화를 목표로 차질없는 공공 인프라 구축을 이뤄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담당부서도시기반처책임자팀장 노선기(055-922-3701) 담당자차장박태관(055-922-3710)
2025-11-18

전체 3,780 페이지 1/473

처리중입니다.
처리중입니다.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등록 0/100